요즘 폭싹 삭았수다 드라마 덕분에 제주도가 각광받고 있는데요. 아름다운 제주도의 자연 뒤에는 깊은 슬픔과 아픔의 역사가 숨겨져 있습니다.
바로 제주 4.3 사건입니다.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제주도민들은 엄청난 고통을 겪어야 했습니다.
오늘은 제주 4.3 사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주 4.3 사건, 왜 일어났을까?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을 기점으로 1954년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민간인 희생 사건으로, 그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얽혀 있습니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실정과 그로 인한 제주도민들의 불만이 팽배했던 상황이 주요한 원인이었습니다. 미군정의 정책 실패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가중시켰고, 이는 민심 이반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이념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우익 단체들의 폭력적인 행위가 제주도민들에게 큰 불안감을 조성했습니다. 특히 1947년 3월 1일, 3.1절 기념 집회에서 경찰의 발포로 무고한 민간인 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제주도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고, 이는 4.3 사건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더불어, 당시 제주도민들은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통일된 조국을 염원하는 마음이 강했기 때문에 이러한 정치적 갈등 또한 사건 발생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여러 사회적, 정치적 배경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제주 4.3 사건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게 된 것입니다.
제주4.3사건으로 인한 희생과 고통

제주 4.3 사건 당시 제주도민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이 깊고 참혹했습니다. 갑작스러운 무장 봉기 이후 정부의 강경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무고한 주민들이 '폭도'로 몰려 영문도 모른 채 목숨을 잃어야 했습니다. 군경 토벌대는 무장대와 관련이 없는 평범한 농민, 여성, 아이, 노인까지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인 학살을 자행했습니다. 특히 중산간 마을은 무장대의 근거지로 여겨져 초토화 작전이 펼쳐지면서 집과 삶의 터전을 잃고 뿔뿔이 흩어지거나 숨어 지내야 했습니다. 심지어 토벌대는 마을을 불태우고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키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습니다. 무장대의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연좌제가 적용되어 체포, 구금, 고문은 물론 심지어 처형까지 당하는 억울한 사례가 비일비재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행방불명되어 생사를 알 수 없게 되었고, 남은 가족들은 사랑하는 이들의 죽음을 애도할 겨를도 없이 공포와 불안 속에서 숨죽이며 살아야 했습니다. 이렇듯 제주도민들은 7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극심한 공포와 슬픔, 절망 속에서 인간으로서 겪을 수 있는 모든 고통을 감내해야 했습니다.
정확한 희생자 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2만 5천 명에서 3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사건 이후 오랫동안 진실이 은폐되었으나,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주 4.3사건 잊지말아요.

제주 4.3 사건은 단순히 과거의 비극적인 사건으로만 남겨둘 수 없습니다. 이 사건은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이며, 이념 대립과 국가 폭력의 참혹함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교훈입니다.
제주 4.3 사건을 잊지 않고 기억하며,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더 이상 이 땅에 이러한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제주 4.3평화재단 홈페이지
제주4·3평화재단
4·3평화기념관 휴관일 4월의 휴관일 : 7 / 21일 매월 첫째, 셋째 월요일 〈단, 공휴일(대체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
jeju43peace.or.kr